CDE(Common Data Environment)

CDE(Common Data Environment) 관련자료

1. 국토부 BIM 기본지침(CDE)

2.2.2 BIM 협업환경


(1) 공통정보관리환경 구성

(가) 발주자와 수급인(설계자)은 전면 BIM 설계 업무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가 생성하는 정보에중복 및 혼선이 없도록 협업 플랫폼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공통데이터 환경(Common Data Environment) 이하 “CDE”라 한다.
(나) 수급인(설계자)은 발주단계에서 발주자가 CDE를 요구할 경우,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협업 플랫폼의 구축 방법, 협업 절차 및 BIM 데이터 관리 방안, CDE 유지관리 기간 및 책임소지 등의 세부적인 수행계획을 ‘BIM 수행계획서’에 반영하여야 한다.
(다) 수급인(설계자)은 CDE 구축 방법에 기존 시스템(상용 소프트웨어, 자체 보유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시스템 선정기준을 제시하고, 신규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상세한 시스템 개발 내용을제시하여야 한다. 단, CDE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협업, 승인절차, 버전 및 이력관리, 보안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야 하며, BIM 정보관리 국제표준인 ISO19650-1과 2를 준용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라) 수급인(설계자)은 CDE를 구축할 경우, 협업 절차에 BIM 모델작성, 의사결정, BIM 모델 조정, 협업 관리에 관한 세부적인 수행 절차를 제시하여야 한다. - BIM 모델작성 : BIM 요구사항과 작성기준에 맞도록 모델을 작성하는 절차 제시(예시 : 라이브러리 활용 절차, 표준 템플릿 활용 절차 등) - 의사결정 : 업무를 수행하는 주체들이 각각 생성한 모델을 통합 분석하여 의사결정 할 수 있는 절차 제시(예시 : BIM 모델 통합 절차, BIM 데이터 분석 기능 및 적용 절차, 주체별 의사결정 프로세스 등) - BIM 모델 조정 :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BIM 모델을 조정하는 절차
(예시 : 주체별 BIM 모델 조정 프로세스, 주체별 BIM 모델 조정 권한 등) - 협업 관리 : 협업을 하는 동안 생성된 정보들을 관리하는 절차(예시 : 간섭, 각종 변경사항 등 이슈 정보들을 기록하고,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절차, 모델 관리, 공정관리 등 BIM 정보에 접근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절차 등)

(마) 수급인(설계자)은 CDE 구축・운영 방안을 ‘BIM 수행계획서’에 작성하여 발주자에게 승인을 받아야 하며, 필요시 발주자와 협의를 통해 ‘BIM 수행계획서’에 변경사항을 반영하여야 한다.


(2) 공통정보관리환경 적용


(가) 수급인(설계자)은 발주자가 CDE 시스템을 통해 표준 라이브러리, 템플릿 등의 BIM 데이터와 사업수행을 위한 관련 문서 및 지침을 제공할 경우 우선적으로 이를 과업에 사용해야 하며, 과업기간 동안에는 필요시 업데이트 또는 신규로 작성하여 성과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나) 수급인(설계자)은 과업기간 동안 CDE 시스템을 활용하여 BIM 사업을 수행하고, 변경사항이 있을 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모든 정보를 최신으로 유지하여 협업을 수행함에 있어 일관성 있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다) 수급인(설계자)은 과업기간 동안 BIM 모델을 CDE 시스템에 최신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관련된 분야의 참여자들이 작성한 BIM 모델을 통합모델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라) 수급인(설계자)은 발주자의 검토사항 및 수정사항을 수시로 체크해야 하며, 이를 BIM 모델에 반영하여 CDE 시스템을 최신으로 유지해야 한다.

(3) ISO 19650기반 CDE(공통정보관리환경)의 주요 기능

- 공통정보관리환경은 프로젝트 전체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정보의 공통 생산 및 공유를 위하여  다음의 기능 및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표 4 CDE의 주요 기능 및 요구사항

image.png

2. 싱가포르 건설청(BCA)의 CDE 데이터 표준 

3. 스마트 건설 설계를 위한 ISO 19650 기반의 정보관리 절차와 CDE 협업플랫폼 개발

4. BIM, ISO 19650 표준 및 글로벌 트렌드 소개

5. 공항시설물에 대한 BIM 기반의 공통 데이터 표준 구축 방안